스토리지에서 볼륨을 할당한 후, 리눅스 서버에서 Multipath(다중 경로) 를 설정하는 절차를 정리하겠습니다.
1️⃣ WWID(World Wide Identifier) 조회
WWID는 스토리지 볼륨의 고유 식별자입니다. FC(Fibre Channel) HBA 포트 정보를 확인하여 WWID를 조회합니다.
✅ 출력 예시
📌 설명
- 위 명령을 실행하면 FC 포트별 WWID를 확인할 수 있음
- 0 1 2 3 4 5 6 7 → FC 포트 번호(시스템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음)
2️⃣ LUN(볼륨) 재검색 (리스캔)
스토리지에서 새로운 볼륨을 할당받은 후, LUN을 검색하여 추가된 디스크를 인식해야 합니다.
📌 설명
- <num> → host 번호 입력
-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새로운 LUN을 검색하여 디스크 목록에 추가
✅ 리눅스 7에서 LUN 스캔
✅ FC 스캔이 안될 경우
3️⃣ 디스크 및 볼륨 확인
🔹 디바이스 용량 스캔
🔹 볼륨 확인
✅ 출력 예시
255 heads, 63 sectors/track, 121601 cylinders
📌 설명
- 새롭게 할당된 볼륨 /dev/sdb 등의 장치를 확인
4️⃣ 멀티패스(Multipath) 패키지 설치 및 설정
멀티패스는 하나의 LUN에 대해 여러 개의 경로(Path)를 관리하는 기능입니다.
🔹 1) Multipath 패키지 설치
🔹 2) Multipath 서비스 활성화
✅ RHEL 6 (SysVinit)
✅ RHEL 7 (Systemd)
🔹 3) 정상 설치 확인
✅ 출력 예시
mpath1 (360060160b7e0120087e6d32149e73d11) dm-3 EMC,RAID 5 size=500G
5️⃣ Multipath 설정 파일 구성
Multipath 설정을 위해 multipath.conf 파일을 생성 및 편집합니다.
🔹 1) 기본 설정 파일 복사
🔹 2) 디스크의 WWID 확인
# lib/udev/scsi_id --whitelisted --device=/dev/sdc --replace-whitespace
# lib/udev/scsi_id --whitelisted --device=/dev/sdd --replace-whitespace
📌 출력 예시
- 위 출력된 WWID를 적어둡니다.
🔹 3) multipath.conf 설정
✅ 설정 예시
defaults {
user_friendly_names yes
}
blacklist {
devnode "^ram|^loop|^fd|^md|^sr|^scd|^dm-"
}
multipaths {
multipath {
wwid 360060160b7e0120087e6d32149e73d11
alias mpath1
mode 0600
}
multipath {
wwid 360060160b7e0120087e6d32149e73d12
alias mpath2
mode 0600
}
}
📌 설명
- wwid → 앞서 확인한 디스크의 WWID 입력
- alias → 논리적 이름(자동으로 mpathX가 설정되지만, 별도로 지정 가능)
- mode → 파일 접근 권한 설정
6️⃣ Multipath 서비스 재시작 및 LUN 확인
🔹 1) 서비스 재시작
🔹 2) Multipath LUN 확인
✅ 출력 예시
size=500G
policy=round-robin 0
status=active
📌 설명
- mpath1 → 할당된 스토리지 볼륨
- size=500G → 디스크 크기
- policy=round-robin → I/O 분산 정책
- status=active → 정상 동작 여부
7️⃣ 파일시스템 생성 및 포맷
스토리지 볼륨을 정상적으로 인식하면, 파일시스템을 생성하고 포맷합니다.
📌 설명
- mpath1p1 → mpath1 디스크의 첫 번째 파티션
📌 최종 정리
✅ WWID 조회
✅ LUN 스캔 및 볼륨 확인
✅ Multipath 패키지 설치 및 서비스 시작
✅ Multipath 설정 파일 수정
✅ Multipath 서비스 재시작 및 LUN 확인

✅ 파일시스템 생성 및 포맷
'IT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buntu UFW (Uncomplicated Firewall) 방화벽 설정 및 관리 (0) | 2025.02.15 |
---|---|
리눅스 성능 모니터링 (iostat, vmstat 명령어 정리) (0) | 2025.02.15 |
리눅스 FC카드 조회&WWN ID 확인 방법 (0) | 2025.02.15 |
리눅스 압축 및 압축 해제 방법 (0) | 2025.02.15 |
리눅스 NTP(Network Time Protocol) 설정 및 동기화 방법 (0) | 2025.02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