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TP(Network Time Protocol)는 시스템의 시간을 동기화하는 프로토콜입니다.
리눅스에서는 chronyd 또는 ntpd 서비스를 사용하여 NTP 서버와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.
아래에서 timedatectl 및 chronyd를 사용한 NTP 설정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.
1️⃣ 현재 시간 및 NTP 설정 확인
시스템의 현재 시간, 시간대, NTP 동기화 상태 등을 확인하려면:
출력 예시:
Universal time: Wed 2017-09-20 15:12:58 UTC
RTC time: Wed 2017-09-20 15:12:58
Time zone: Asia/Seoul (KST, +0900)
NTP enabled: yes
NTP synchronized: no
RTC in local TZ: no
DST active: n/a
✅ NTP enabled: yes → NTP 활성화 상태
✅ NTP synchronized: no → 아직 동기화되지 않음
2️⃣ 설정 가능한 시간대 목록 확인
설정 가능한 모든 시간대 목록을 보려면:
출력 예시:
Africa/Accra
Africa/Addis_Ababa
Africa/Algiers
Asia/Seoul
...
3️⃣ 시간대 변경
한국 시간(서울)로 변경하려면:
변경 후 확인:
4️⃣ NTP 동기화 활성화
자동 시간 조정을 위해 NTP 동기화를 활성화하려면:
비활성화하려면:
✅ true → NTP 동기화 활성화
✅ false → NTP 동기화 비활성화
5️⃣ NTP 서버 설정 (chronyd)
chronyd는 일반적으로 **부정확한 로컬 하드웨어 클럭(RTC)**을 구성된 NTP 서버에 동기화하면서 계속 추적합니다.
네트워크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/etc/chrony.conf 파일을 통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.
🔹 /etc/chrony.conf 설정
아래 내용을 추가 또는 수정:
server 0.rhel.pool.ntp.org iburst
server 1.rhel.pool.ntp.org iburst
server 2.rhel.pool.ntp.org iburst
server 3.rhel.pool.ntp.org iburst
# 커널 RTC 동기화
rtcsync
# 시간 조정 로그 저장
driftfile /var/lib/chrony/drift
# 네트워크 내 로컬 클라이언트 허용
allow 192.168/16
# NTP 명령어 요청 허용
bindcmdaddress 127.0.0.1
bindcmdaddress ::1
# 로그 저장 설정
logdir /var/log/chrony
✅ server → 동기화할 NTP 서버 지정 (DNS 또는 IP 사용 가능)
✅ iburst → 빠른 초기 동기화를 위한 설정
✅ allow 192.168/16 → 해당 IP 대역의 NTP 클라이언트 허용
6️⃣ chronyd 서비스 재시작 및 상태 확인
설정을 적용하려면 chronyd 서비스를 재시작해야 합니다.
✅ restart → 서비스 재시작
✅ enable → 부팅 시 자동 실행 설정
✅ status → 현재 서비스 상태 확인
7️⃣ NTP 동기화 상태 확인
NTP 서버와의 동기화 상태를 확인하려면:
출력 예시:
✅ ^* → 현재 동기화된 NTP 서버
✅ ntp.server.domain → 현재 동기화 중인 NTP 서버
8️⃣ 강제 동기화 수행
시간을 즉시 동기화하려면:
이 명령어는 시간이 10초 이상 차이가 나면 즉시 동기화합니다.
9️⃣ chronyd 로그 확인
NTP 동기화 관련 로그를 확인하려면:
📌 최종 정리
✅ 현재 시간 및 동기화 상태 확인: timedatectl
✅ 시간대 변경: timedatectl set-timezone Asia/Seoul
✅ NTP 동기화 활성화: timedatectl set-ntp true
✅ NTP 서버 설정: /etc/chrony.conf 편집
✅ chronyd 서비스 적용: systemctl restart chronyd
✅ NTP 동기화 확인: chronyc sources -v
✅ 강제 동기화: chronyc makestep
'IT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FC카드 조회&WWN ID 확인 방법 (0) | 2025.02.15 |
---|---|
리눅스 압축 및 압축 해제 방법 (0) | 2025.02.15 |
리눅스 커널 파라미터 설정 (sysctl.conf) (0) | 2025.02.15 |
리눅스에서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(0) | 2025.02.15 |
리눅스 Active Directory(AD) 조인 설정 가이드 (0) | 2025.02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