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MALL
1. iostat (CPU 및 디스크 I/O 모니터링)
iostat 명령어는 CPU 부하 및 디스크 I/O의 세부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.
- 기본 사용법
# iostat
- 출력 항목 설명
- [tps] : 디바이스에 초당 전송 요청 건수
- [kB_read/s] : 초당 읽은 데이터 (KB)
- [kB_wrtn/s] : 초당 기록된 데이터 (KB)
- [kB_read] : 측정 간격 동안 읽은 총 데이터 블록 수
- [kB_wrtn] : 측정 간격 동안 기록된 총 데이터 블록 수
- 더 자세한 정보 보기 (-x 옵션)
# iostat -x
- 실시간 모니터링
- 3초 간격으로 5번 출력
- # iostat 3 5
2. vmstat (CPU, 메모리, 디스크, I/O 모니터링)
vmstat 명령어는 시스템 작업, 메모리 사용량, CPU 및 디스크 I/O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됩니다.
- 기본 사용법
# vmstat
- 출력 항목 설명
- [r] : 실행을 기다리는 프로세스 개수 (CPU 개수의 2배를 넘으면 CPU 성능 부족 가능)
- [b] : I/O 처리를 위해 블록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 개수 (높으면 디스크 I/O 병목 가능)
- [si] (swap in) : 디스크에서 메모리로 불러온 데이터 양 (KB/s)
- [so] (swap out) : 메모리에서 디스크로 이동한 데이터 양 (KB/s, 높으면 메모리 부족 가능)
- 메모리 통계 확인 (-s 옵션)
# vmstat -s
- 실시간 모니터링
- 3초 간격으로 5번 출력
# vmstat 3 5
- 3초 간격으로 5번 출력
사용 예시
- CPU 및 디스크 부하 확인 → iostat -x
- 메모리 사용량 및 스왑 상태 확인 → vmstat -s
- 실시간 CPU 및 I/O 모니터링 → iostat 3 5, vmstat 3 5
위 명령어를 사용하여 시스템 성능 문제를 분석하고 병목 구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LIST
'IT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irewalld 방화벽 설정 및 관리 가이드 (0) | 2025.02.15 |
---|---|
Ubuntu UFW (Uncomplicated Firewall) 방화벽 설정 및 관리 (0) | 2025.02.15 |
리눅스의 스토리지 MULTIPATH 설정 방법 (0) | 2025.02.15 |
리눅스 FC카드 조회&WWN ID 확인 방법 (0) | 2025.02.15 |
리눅스 압축 및 압축 해제 방법 (0) | 2025.02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