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MALL
1. 시간대(KST) 설정
1.1. 시간대 변경
# 시간대를 한국 표준시(Seoul)로 변경
[root@jgshin ~]# ln -sf /usr/share/zoneinfo/Asia/Seoul /etc/localtime
- /etc/localtime 심볼릭 링크를 교체하여 시스템 시간대를 변경합니다.
- 변경 직후 date 명령으로 KST로 표시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1.2. 시스템 시간 직접 지정 (선택 사항)
# 시스템 시간을 직접 지정(예시: 2023-02-15 09:30:00)
[root@jgshin ~]# date -s "2023-02-15 09:30:00"
- 특정 시점으로 맞춰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합니다.
- YYYY-MM-DD HH:mm:ss 형식으로 입력합니다.
2. 실행 예시
[root@jgshin ~]# date
Thu Dec 12 06:55:38 PST 2013 # 기존 PST(태평양 표준시)
[root@jgshin ~]# date -s
"2013-12-01 00:00:00" Sun Dec 1 00:00:00 PST 2013
[root@jgshin ~]# date
Sun Dec 1 00:00:02 PST 2013
- 이 예시에서는 PST로 설정되어 있던 시간을 2013년 12월 1일 00:00:00으로 변경했습니다.
3. NTP 서버와 하드웨어 클록 동기화
3.1. NTP 서버로 시간 동기화
[root@jgshin ~]# ln -sf /usr/share/zoneinfo/Asia/Seoul /etc/localtime
[root@jgshin ~]# rdate -s time.nist.gov
- rdate 또는 ntpdate 같은 유틸리티를 사용해 공인 NTP 서버(예: time.nist.gov, ntp.kornet.net 등)와 동기화합니다.
3.2. 하드웨어 클록(HWClock) 동기화
[root@jgshin ~]# hwclock --systohc
- 현재 시스템 시간을 하드웨어 클록과 동기화합니다.
- 재부팅 시에도 시간 설정이 유지되도록 설정하는 중요한 작업입니다.
3.3. 확인
[root@jgshin ~]# date
Fri Dec 13 00:10:01 KST 2013
[root@jgshin ~]# hwclock
Fri 13 Dec 2013 12:10:02 AM KST -0.797944 seconds
- date와 hwclock를 각각 호출하여, KST가 적용되었고 서로 시간이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LIST
'IT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NFS(Network File System) 설치 및 적용 가이드 (0) | 2025.02.15 |
---|---|
리눅스 네트워크 TCP/UDP 체크 (0) | 2025.02.15 |
리눅스 Redhat OS 서브스크립션 등록 (0) | 2025.02.15 |
리눅스 LVM /축소/확장/생성 (0) | 2025.02.15 |
리눅스 물리 시스템 정보 확인 (0) | 2025.02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