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MALL
* netstat -a ( -a 옵션을 주어서 모든 연결 목록을 출력합니다 )
필 드 명 | 의 미 |
Proto | 사용중인 프로토콜을 표시해주는 필드입니다. ( ex. tcp/udp ) |
Recv-Q | 수신 소켓 버퍼에 존재하는 바이트 수를 표시해주는 필드입니다. |
Send-Q | 송신 소켓 버퍼에 존재하는 바이트 수를 표시해주는 필드이며 반대편 peer socket에 전송되지 못한 것을 의미합니다. |
Local Address | 로컬 주소 표시 필드 |
Foreign Address | 상대편 주소 표시 필드 |
state | 현재 연결의 상태를 표시해 주는 필드입니다. |
* netstat -nr ( -nr 옵션을 주어서 라우팅 테이블 상태를 출력합니다.)
route 명령어를 사용했을 때와 동일한 결과를 출력해줍니다.
기본적으로 -r 옵션만 주어서 출력을 할 수 있지만 -n 옵션을 주어서 호스트 찾기 안 함으로 빠른 결과를 출력할 때
사용합니다.
필 드 명 | 의 미 |
Gateway | 라우팅 항목에서의 gateway를 표시합니다. |
Genmask | 라우팅 항목의 netmask 를 표시합니다. |
Flags | 라우팅 경로에 관한 여러 플래그를 표시합니다. U : 인터페이스가 UP 인 상태 H : 라우팅 경로를 통해 호스트로의 연결 G : 게이트웨이의 라우트 D : 라우트가 재지정되어 동적으로 생성 M : 라우팅 경로가 ICMP 리다이렉트 메시지를 통해 수정되었을 경우 최대 세크먼트 크기 |
MSS | |
Window | 원격에서 한 번에 보내는 데이터의 수신량 |
irtt | initial round trip time 으로, 0은 초기 설정값을 사용한다는 의미 |
Ifce |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|
* netstat -at ( -at 옵션을 부여하여 tcp 연결만 모두 출력할 때 사용합니다. )
다음과 같이 tcp 연결의 모든 상태를 출력합니다.
* netstat -au ( -au 옵션을 부여하여 udp 연결만 모두 출력할 때 사용합니다. )
tcp와 반대로 udp 연결의 모든 상태를 출력합니다.
해당 필드 값은 위에 참고해주세요.
* netstat -nl ( -nl 옵션을 부여하여 호스트 찾기 안 함으로 빠르게 Linsten 인 상태 모두를 출력할 때 사용 )
여기서 응용하면 -t 옵션을 추가하여 -ntl 옵션으로 tcp의 Linsten 인 상태 모두를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.
반대로 -u 옵션을 추가하여 -nul 옵션으로 udp의 Listen 인 상태 모두를 출력도 가능합니다.
여기서 상태를 나타내는 state의 필드 값에 대해서 알아봅시다.
필 드 값 | 의 미 |
LISTEN | 연결이 가능하도록 관련 데몬이 떠있으며 연결이 가능함을 의미합니다. |
SYN-SENT | 연결을 요청한 상태를 의미합니다. |
SYN_RECEIVED | 연결요구에 의한 응답을 준 후에 확인메시지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를 의미. |
ESTABLISHED | 위의 3단계 연결과정이 모두 종료된 후에 연결이 완료된 상태를 의미. |
FIN-WAIT, CLOSE-WAIT, FIN-WAIT2 |
연결 종료를 위해 종료 요청을 받은 후의 종료 과정을 의미. |
CLOSING | 전송된 메시지가 유실된 상태를 의미합니다. |
TIME-WAIT | 연결종료 후에 한동안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. |
CLOSED | 연결이 완전히 종료된 상태를 의미합니다. |
LIST
'IT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라우팅 경로 설정 및 영구 적용 방법 (0) | 2025.02.15 |
---|---|
리눅스 NFS(Network File System) 설치 및 적용 가이드 (0) | 2025.02.15 |
리눅스 Redhat OS 서브스크립션 등록 (0) | 2025.02.15 |
리눅스 LVM /축소/확장/생성 (0) | 2025.02.15 |
리눅스 물리 시스템 정보 확인 (0) | 2025.02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