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IT/리눅스

리눅스 내부망 프록시 서버 설정 방법

by JGSHIN 2025. 2. 15.
SMALL

리눅스에서 내부망에서 인터넷 사용을 위해 외부망의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려면 /etc/environment 파일을 수정하여 시스템 전역 환경변수로 프록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 

1️⃣ /etc/environment 파일 수정

 
# vi /etc/environment

수정 내용 (IP 변경됨)

http_proxy="http://192.168.100.1:3128"
https_proxy="http://192.168.100.1:3128"
NO_PROXY="localhost,127.0.0.1,0.0.0.0/8,${no_proxy}"

설명

  • http_proxy 및 https_proxy → 외부망 서버 주소(192.168.100.1)와 포트(3128) 설정
  • NO_PROXY → 로컬 네트워크 및 특정 도메인은 프록시를 거치지 않도록 설정
    • localhost, 127.0.0.1, 0.0.0.0/8 등을 포함

2️⃣ /etc/profile 파일에도 추가 (필요 시)

일부 프로그램이 /etc/environment 대신 /etc/profile을 참고하므로, 프록시 설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
 
# vi /etc/profile

수정 내용

export http_proxy="http://192.168.100.1:3128"
export https_proxy="http://192.168.100.1:3128"
export NO_PROXY="localhost,127.0.0.1,0.0.0.0/8,${no_proxy}"

✅ 설정 후 적용:

 
source /etc/profile

3️⃣ 프록시 설정 적용 확인

 
echo $http_proxy
echo $https_proxy

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(프록시를 사용하여 요청 보내기)

 
curl -I --proxy http://192.168.100.1:3128 https://www.google.com

4️⃣ 특정 사용자만 프록시를 사용하도록 설정

특정 사용자만 프록시를 사용하려면 해당 사용자의 ~/.bashrc 또는 ~/.bash_profile 파일에 추가합니다.

 
# vi ~/.bashrc

수정 내용

 
export http_proxy="http://192.168.100.1:3128"
export https_proxy="http://192.168.100.1:3128"
export NO_PROXY="localhost,127.0.0.1,0.0.0.0/8,${no_proxy}"

✅ 적용:

 
source ~/.bashrc

✅ 결론

  • 내부망에서 전역적으로 프록시를 설정하려면 /etc/environment 또는 /etc/profile을 수정
  • 특정 사용자만 사용하려면 ~/.bashrc 또는 ~/.bash_profile에 추가
  • NO_PROXY 설정을 활용하여 로컬 네트워크에서는 프록시를 사용하지 않도록 구성

👉 이제 내부망 프록시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! 🚀

LIST
📧 이메일 문의
by @ 2025 JGSHI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