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amba는 Linux에서 Windows와 파일 및 프린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입니다.
설치부터 설정까지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1️⃣ Samba 설치
📌 Ubuntu/Debian
📌 CentOS/RHEL
설치가 완료되면 Samba의 버전을 확인하여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.
2️⃣ Samba 서비스 시작 및 활성화
설치가 완료되면 Samba 서비스를 실행하고 부팅 시 자동 시작되도록 설정합니다.
Samba가 실행 중인지 확인합니다.
3️⃣ Samba 설정 파일 수정
Samba의 설정 파일은 /etc/samba/smb.conf입니다. 설정을 변경하기 전에 백업을 생성합니다.
이제 설정 파일을 수정합니다.
기본 설정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거나 추가합니다.
workgroup = WORKGROUP
server string = Samba Server
netbios name = samba_server
security = user
map to guest = bad user
dns proxy = no
#============================ Share Definitions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[app_server_upload]
comment = app_server_upload
browseable = yes
writeable = yes
path = /home/data/disk2/smb_root/app_server
guest ok = yes
create mask = 0777
directory mask = 0771
[jeong_upload]
comment = http://www.jeong.com/jeong_upload
browseable = yes
writeable = yes
path = /home/data/disk2/smb_root/jeong_upload
guest ok = yes
create mask = 0777
directory mask = 0771
[jgshin_upload]
comment = http://www.jgshin.com/jgshin_upload
browseable = yes
writeable = yes
path = /home/data/disk2/smb_root/jgshin_upload
guest ok = yes
create mask = 0777
directory mask = 0771
이 설정에서는 세 개의 공유 폴더를 만듭니다.
- app_server_upload → /home/data/disk2/smb_root/app_server
- jeong_upload → /home/data/disk2/smb_root/jeong_upload
- jgshin_upload → /home/data/disk2/smb_root/jgshin_upload
4️⃣ 공유 폴더 생성 및 권한 설정
Samba에서 사용할 공유 폴더를 생성하고 적절한 권한을 부여합니다.
폴더 권한 설정:
sudo chmod -R 0777 /home/data/disk2/smb_root/
5️⃣ Samba 사용자 추가 (옵션)
Samba 사용자를 추가하려면 기존 리눅스 사용자 또는 새로운 사용자를 생성한 후, Samba 계정으로 등록해야 합니다.
📌 새 사용자 생성 및 Samba 사용자 등록
비밀번호를 입력하면 Samba에 해당 사용자가 추가됩니다.
6️⃣ Samba 설정 확인 및 서비스 재시작
설정이 정상적으로 적용되었는지 확인합니다.
출력 결과에서 오류가 없는지 확인합니다.
Samba 서비스를 다시 시작합니다.
7️⃣ 방화벽 설정 (필요 시)
Samba를 사용하기 위해 포트를 열어야 합니다.
📌 Ubuntu/Debian
📌 CentOS/RHEL
8️⃣ Windows에서 Samba 공유 폴더 접속
Windows에서 Samba 공유 폴더에 접속하려면 파일 탐색기를 열고 아래 경로를 입력합니다.
예) \\192.168.1.100
접속이 되면 공유 폴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9️⃣ Samba 자동 시작 설정
서버가 재부팅될 때 Samba가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설정합니다.
✅ 최종 점검
이제 Samba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면 됩니다. 🎉
🛠️ 문제 해결
❌ Windows에서 접근이 안 되는 경우
- 방화벽이 Samba 포트를 허용했는지 확인하세요.
- Windows의 네트워크 공유 설정에서 "암호 보호 공유"를 비활성화합니다.
- smb.conf에서 security = user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
❌ Samba 공유가 보이지 않는 경우
를 실행하여 서비스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.
🔹 결론
이제 리눅스에서 Samba를 설치하고 설정하여 Windows와 파일을 공유하는 방법을 익혔습니다.
jeong.com과 jgshin.com으로 공유 폴더 설정도 변경했으며, 사용자 계정 추가 및 방화벽 설정까지 완료하였습니다.
🚀 이제 Samba를 사용하여 파일을 쉽게 공유하세요! 🚀
'IT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특정 날짜 파일복사 및 특정 날짜 ~ 금일, 특정 날짜 (0) | 2025.02.15 |
---|---|
rsync를 이용한 원격지 데일리 백업 자동화 (0) | 2025.02.15 |
리눅스 SSL 인증서 만료 날짜 확인 (0) | 2025.02.15 |
Ubuntu iSCSI Target (tgt) 설정 방법 (0) | 2025.02.15 |
Ubuntu 버전 업그레이드 방법(트러블슈팅 포함) (0) | 2025.02.15 |